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타인에 대한 신념, 자기개념과 타인개념과의 관계
    인간관계론 2022. 5. 11. 19:20

    타인에 대한 신념에 인간관계는 자기 개념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신념에 의해 강한 영향받으며 타인 표상(대인관계의 대상이 되는 타인에 대한 심리적 표상)은 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타인 표상은 타인이 어떤 심리적 속성과 의도를 가졌는지에 대한 지적인 정보와 믿음을 의미하며, 타인의 행동을 예상하는 바탕이 된다.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게 되는 특정한 타인에 대해 어떤 신념을 지니느냐에 따라 그 사람과의 인간관계가 달라지며 예시로 아버지를 독선적이고 신경질적이며 폭력적인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우에는 아버지에게 두려움을 느끼며 회피하는 행동을 나타내지만, 따뜻하고 부드러우며 이해심이 많다고 생각되는 어머니에게는 어리광을 피우며 친밀한 행동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 있는 타인’에 대한 신념은 그들과의 관계의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우리 삶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우리는 특정 집단에 대한 신념을 갖게 되며 성별, 인종, 나이, 직업, 출신 지역, 사회적 계층, 교육 수준 등에 의해 범주화되며 이런 범주에 의해 나눠진 집단의 속성에 대해 나름대로 평가적 신념을 갖게 되고 예시로 어떤 여자는 대부분 남자가 포용력 있고 책임감 있는 믿음직한 존재라고 여기지만, 남자는 모두 이기적이고 지배적이며 공격적이라고 생각하는 여자도 있다. 우리 사회에는 특정 지역 출신 집단, 직업 집단, 계층 집단, 연령집단의 성격적 특성에 대한 여러 신념이 퍼져있으며 예시로 어떤 지역 출신은 권력 지향적이고 권위적이며, 어떤 지역 출신은 표리 부동해 믿기 힘들다는 등의 신념을 지니는 사람이 있다. 인간 일반에 대한 신념도 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성선설, 성악설 등이 있고 인간은 누구나 타인에 대한 자신의 체험을 근거로 인간 본성에 대해 나름대로 신념을 갖게 된다. 인간에 대한 신념은 인간성에 대한 평가적 신념, 즉 긍정적 신념과 부정적 신념이 가장 주된 내용을 이룬다. 개인은 과거의 직접적·간접적 인간관계 경험에 근거해 인간에 대한 나름의 신념을 갖게 되므로 과거에 특수한 경험을 한 사람은 인간에 대해 매우 독특한 신념을 지닐 수 있으며 예시로 폭력적 부모 아래서 성장한 사람은 부모를 위협적이며 적대 전인 존재로 보게 되고 이런 인식이 다른 사람에게 일반화되어 인간은 모두 두려운 존재라는 믿음이 생길 수 있다. 인간은 매우 다양한 개인차를 나타내며,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달리 반응하는 존재이며 인간의 다양성과 반응성을 무시하고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신념은 흔히 원만한 대인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예시로 대인관계 부적응을 나타내는 사람 중에는 타인에게 부정적이고 피해 의식적인 신념을 지닌 사람들이 많은데, 이 사람들은 흔히 ‘사람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고 이해타산적이다.’ ‘주변 사람들은 모두 공격적이고 비판적이다.’라는 것과 같은 신념을 가진 경우가 많다. 이런 신념은 과잉 일반화된 편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기 개념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고 인지하고 있는가라는 개념적인 자기 인지의 총체를 의미하며, 임상심리학, 카운슬링, 인격 심리학, 사회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쓰이는 설명적 구성 개념이며 자기 개념과 타인 개념과의 관계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 행동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과 타인의 호의성에 대한 신념에 의해 설명 가능하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은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가졌는지에 대한 평가적 신념이며 자기 능력의 강약에 대한 신념이다. 타인의 호의성에 대한 신념은 타인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얼마나 호의적, 긍정적 반응을 나타낼 것인가에 대한 평가적 신념이다. 자기 능력의 강함-약함과 타인의 호의성-적대성에 대한 신념의 2x2 조합에 의해 대인 행동의 양상을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대인 행동의 양상의 네 가지 유형 중 첫 번째 자기 능력이 강하고 타인이 호의적이라는 신념. 첫 번째, 긍정적 자기 개념을 가지며 타인들이 자신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지닐 것이라고 기대함 두 번째, 대인관계에서 자신 있고 능동적이며 접근적인 사회적 행동을 나타냄 세 번째, 대인관계 상황에서 주도적이고 확신에 차 있으며 안정된 대인 행동을 나타냄 네 번째,  확신형 두 번째 자기 능력이 강하지만 타인이 적대적이라는 신념. 첫 번째, 수용형은 대인관계에서 어려움과 불만을 조용히 참는 행동 패턴을 보임 두 번째, 반항형은 분노나 적개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행동 패턴을 보임 세 번째, 이 두 유형 모두 대인 환경과 타인에 대한 불신과 적개심을 갖고 있는 동시에 자신에 대한 효능감과 자신감을 지니고 있음 네 번째, 대인관계에서 생기는 문제나 실패에 대해 자신보다는 타인을 탓하고 책망하는 경향 다섯 번째, 수용 또는 반항형으로 나타남 세 번째 자기 능력이 약하고 타인이 호의적이라는 신념. 첫 번째, 외현적으로 비교적 무난한 대인관계를 나타낼 수 있으나 대인관계에서 소극적, 수동적이며 의존적인 행동 패턴을 보임 두 번째, 타인의 공격이나 거부에 쉽게 상처받고 자신을 비하할 수 있는 취약성을 지님 세 번째, 의존형 네 번째 자기 능력이 약하고 타인이 적대적이라는 신념. 첫 번째, 대인관계에 대한 동기가 미약하고, 대인관계에서 부정적 결과를 예측하게 되며 이런 결과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데에 무기력한 태도를 보임 두 번째, 대인관계에서 흔히 부정적인 양상을 보이며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장애를 나타낼 수 있음 세 번째, 무기력형 이 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