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친교대상자의 선택, 친구관계의 발전과 심화, 친구관계의 약화와 해체
    인간관계론 2022. 7. 20. 19:30

    친교 대상자의 선택은 인간이 호감을 느끼고 친구로 선택하게 되는 기준이다.  ①인간은 자신을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②인간은 자신과 유사한 태도를 지닌 사람을 좋아한다. ③인간은 자신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사람을 좋아한다. ④인간은 신체적으로 매력적인 사람을 좋아한다. ⑤인간은 자신과 나이가 비슷한 사람을 좋아한다. ⑥인간은 자신 곁에 가까이 사는 사람을 좋아한다. ⑦인간은 같은 성(sex)을 가진 사람과 친구가 된다. 근접성은 물리적 거리를 의미하며 ‘이웃사촌’이란 말이 있듯이, 우리는 물리적으로 가깝게 사는 사람과 친해지는 경향이 있다. 근접성이 친교 관계를 촉진하는 이유에는 만날 기회가 많기 때문, 가까이 사는 사람은 큰 노력 없이 쉽게 접촉 가능하기 때문에 만남의 부담이 적음, 가까이 사는 사람은 서로 유사한 경우가 많음, 가까이 사는 사람과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인지적 압력이 친교의 노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친숙성은 우리는 무엇이든지 자주 접하는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며 단순 접촉 효과는 단순한 접촉의 증가에 의해 호감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반복된 접촉이 항상 호감을 증가시키지는 않으며 불쾌감을 느끼는 자극에 대해서는 단순 접촉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과잉 노출 효과는 긍정적인 대상일지라도 접촉의 빈도가 어느 수준을 넘으면 오히려 호감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유사성은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깃털을 가진 새끼리 모인다.’라는 속담이며 유사성은 사람을 친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고 태도나 취미의 유사성이 친교 관계를 촉진하는 원인이 된다. 유사성이 친교 관계를 촉진하는 이유는 서로 유사하면 상대방의 속성을 이해하기 쉽고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날 접촉의 성격을 예상하기 쉬우며 심리적 부담을 감소시켜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유사한 상대에 대해 그가 나를 좋아할 것이라 기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관계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친교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 유사한 사람들 간의 관계는 서로 보상을 가져다주며 공감과 강화를 많이 주고받게 된다. 보상성은 사람 사이를 가깝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며 인간관계에서 주고받는 다양한 보상은 상대방으로부터 호감과 애정이 있고 즐거운 체험을 함께 나누는 사람과 친해지며 정신적 또는 물질적 도움이 인간관계를 촉진하는 주요 보상 요인이 된다. 보완성은 보상 성과 관련된 속성이고 보완성을 통해 친교 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 개인적 특징들은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이 3가지가 있다. 첫 번째, "성격특성" 따뜻하고 친절한 성격을 지닌 사람을 좋아하며 바람직하고 긍정적 성격특성을 지닌 사람을 좋아한다. 또 호감을 느끼는 성격특성은 문화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두 번째, "능력" 유능한 사람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고 더 많은 보상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신체적 매력" 잘 생기고 아름다운 사람을 좋아하며 특히 젊은 학생들 간에는 신체적 매력, 이성 교제 시 상대를 고르는데 매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되고 외모나 신체 매력은 호감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친구 관계의 발전과 심화에 친구 관계에서는 대상의 선택뿐만 아니라 친구 관계를 심화시켜 친밀하고 깊이 있는 관계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친구 관계의 발전단계는 친밀감의 정도에 의해 평가된다. Huston과 Levinger(1978)는 인간관계의 친밀성이 두 사람 사이의 상호의존성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했으며 이들에 따르면 친교 관계는 3단계에 따라 발전된다. 먼저 면식의 단계는 두 사람 간 직접 접촉 없이 관찰을 통해 서로 알고 있는 단계이고 다만 상대에 관한 관심과 호기심을 지니고 있다. 접촉의 단계는 두 사람 사이에 직접적 교류가 일어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상대의 독특한 인격적 특성에 대한 정보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상호의존의 단계는 두 사람 사이에 크고 작은 상호의존이 나타나는 단계이며 교류가 증진되고 심화되어 공유된 경험의 영역이 확대되며 상호작용에서 호혜성의 원칙이 초월된다. 친구 관계의 발전 및 심화 요인은 친구 관계를 비롯한 인간관계를 심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자기 공개, 정서적 지지와 공감, 현실적 도움의 교환, 즐거운 체험의 공유 등을 들 수 있다. 자기 공개는 자신을 상대방에게 잘 알리는 동시에 상대방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인간관계가 심화되는 중요한 요인이고 친밀해질수록 자기 공개의 수준이 깊어진다. 초기 인간관계에서는 개인적 정보를 알리는 피상적 자기 공개가 이뤄지고, 자기 공개의 수준은 친밀감이 증가할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며 공개 수준은 상호적이다. 정서적 지지와 공감은 편안함과 신뢰감을 느끼게 하며 정서적 지지는 상대방에 대한 칭찬, 격려, 공감, 위안 등을 통해 정서적으로 도움을 주는 행동이고 공감은 상대방이 느끼고 있을 감정을 함께 느끼고 전달해 주는 것으로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반영한다. 또 자기 공개와 정서적 지지는 상호 촉진적 관계를 지니며 인간관계를 심화시킨다. 현실적 도움의 교환은 현실적 도움을 주고받는 친구 관계는 심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재정적 또는 물질적 도움뿐만 아니라 정보의 제공과 교환을 포함하고 현실적 도움 역시 주고받는 균형적인 교환이 중요하다. 즐거운 체험의 공유는 즐거움과 유쾌함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은 자꾸 만나게 된다. 친구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게 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덕성, 효율성, 쾌락이 있고 대체로 친구 관계는 이러한 세 가지 우정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친구 관계 심화의 필수적 요건은 인간관계를 심화시키는 세 가지 요인이 있다. "보상성"은 인간관계에서 얻게 되는 긍정적이고 보상적인 효과를 의미하고 "상호성"은 인간관계에서 보상적 효과가 서로 균형 있게 교류됨을 의미하며 "규칙성" 은 인간관계에서 서로의 역할과 행동을 수행하는 일관성을 의미한다. 친구 관계의 약화와 해체는 친구 관계의 주요한 특성은 구속력이 약하다는 것이다. 접촉과 관심의 감소는 일반적으로 직장을 갖고 가족을 형성하게 되면 친구에 관한 관심이 감소하며 서양 속담 ‘보지 않으면 마음도 멀어진다.’ 친밀한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시간적, 물리적, 심리적 투자가 필요하지만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의 수에는 제한이 있고 특별한 갈등 없이 만남의 획수가 서서히 감소하면서 서로에 관한 관심도 줄게 되어 친밀한 인간관계가 소원해지게 된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각기 직업 분야나 사회적 지위에 차이가 생기게 되며 서로에 대한 이질감이 증가하는 반면, 화제나 관심사의 공통영역은 감소한다. 갈등 해결의 실패는 원활한 교류가 이뤄지는 친구 사이에는 크고 작은 갈등이 있기 마련이며 이런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해 갈등과 불만이 증폭되면 친구 관계는 와해된다. 친구 관계를 와해시키는 것은 갈등 그 자체라기보다는 갈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실패하는 경우이며 흔히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지 못하면 오히려 감정적 대립이 격화되어 갈등이 확대되는 경우가 많다. 인간관계의 갈등과 불만에 대응하는 방식에는 정식으로 그 관계를 떠나는 것, 상대방을 비판하고 문제를 무시하며 관계가 와해되도록 방치하는 것, 문제를 토의하고 외부의 도움을 구하고 변화를 시도하는 것, 기다리면서 개선을 희망하는 방식 등이 있다. 친구에 대한 실망은 친구에 대한 기대와 신뢰가 깨졌을 때 느끼게 되는 실망과 배신감은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며 친구에 대한 기대의 좌절이 우정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된다. 친구 관계는 큰 도움을 주어야 할 때 깨지기 쉬우며 “친구의 잔치에는 천천히 가되, 불행에는 황급히 가라.”는 말이 있듯이, 곤경에 처한 사람은 친구의 신속하고 자발적인 도움을 기대하게 된다. 투자와 보상의 불균형은 대부분 인간관계는 거래적 교환 관계의 속성을 지니며 투자와 보상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이득을 얻는 관계는 지속되는 반면 손해가 거듭되는 관계는 종결된다. 친구 관계 유지를 위해서는 여러 측면의 투자가 필요하다. 즉, 시간적, 심리적, 물질적 투자가 필요하며 이러한 투자에 비래 친구로부터 돌아오는 보상이 적으면 친구 관계가 약화되고 이러한 투자와 보상의 관점에서 인간관계의 유지와 와해를 설명하는 것은 사회 교환 이론이다. 이해관계의 대립은 친구 사이에 이해관계가 개입되면 친구 관계에 갈등이 초래되기 쉬우며 친구 관계에는 우정을 나누는 우호적인 요소와 더불어 서로를 비교하는 경쟁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친구 관계에는 시기와 질투가 암초로 작용할 수 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