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블로브와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관점
    인간관계론 2022. 4. 25. 19:35

    인간에 대한 기본 관점에 행동주의자들 인간은 환경에 의해 선하게도 악하게도 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학습 이론적 관점에서 인간을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이는 존재로 여긴다. 즉, 학습 이론에 의하면 인간의 성격과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고, 환경에서의 학습의 결과로 생긴 소산물로 본다.
    행동주의 보급에 기여한 Watson은 "나에게 건강한 12명의 아동을 보내시오. 그리고 그들이 내가 고안한 특별한 세계에서 자라게 해 주시오. 그러면 나는 무선으로 어느 1명을 골라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어떤 유형의 전문가 또는 심지어 도둑이 되도록 훈련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라고 했으며 행동주의자들이 인간을 보는 관점을 잘 대변한다.
    행동주의자들은 성선설이나 성악설에서 인간을 바라보지 않고 환경에서의 조건 형성과 강화의 학습 법칙에 따라 인간을 만들 수 있다고 봤으며 예시로 극단적인 예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사회적 범죄자들의 과거에 대해 들어 보면,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열악한 환경에서 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그런 환경에서 누구나 다 범죄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한 인간의 성장에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요약하자면, 행동주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인간은 그가 처한 환경 속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조건, 자극에 의해 영향받아 결정되는 존재라고 할 수 있으며, 환경적 사건에 의해 결정되는 인간의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강조하고 인간의 내면 가치나 자유의지를 강조하는 다른 심리학 학파와 대립된다. Ivan M. Pavlov(1849~1936)의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에서 고전적 조건 형성이란 Pavlov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된 이론으로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학습의 원리는 밝혀낸다. 개는 무조건 자극(고기)에 대해 무조건 반응(타액)을 보이는데, 이는 개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그러나 종소리에 대해서는 타액을 흘리지 않는 것이 자연 반응이지만, 고기와 종소리를 짝지어 수차례 반복 제시하면 개는 곧 종소리에도 타액 반응을 한다. 이후에는 고기를 주지 않아도 조건 자극인 종소리만 들려줘도 타액 반응을 하게 되며 종소리에 대해 타액 조건반응이 형성되었음. 즉, 개는 종소리에 침을 흘리는 새로운 반응을 학습한다. 예시로 포도라는 말만 들어도 군침이 도는 것, 착하다는 말만 들어도 기분이 좋아지는 것, 호랑이라는 말만 들어도 무서워하는 것 등이 있다.
    조건 형성된 학습의 도식 예시로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는 학교라는 곳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학교는 아무런 반응도 유발하지 않는 중성 자극이었다. 그런데 학교에 입학하고 나면 사람들마다 다르게 학교에 대한 조건 형성이 되며 A라는 학생은 학교에 갔더니 선생님이 항상 미소를 지어 주고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등 긍정적 자극을 준다. 그러면 A는 선생님의 긍정적 자극으로 인해 기분이 좋아질 것이고, 이것이 반복되다 보면 결국 학교에 대해 즐거운 감정을 조건 형성하게 된다. 반면 B는 선생님이 항상 무섭게 대하고 혼내는 부정적 자극을 주면, B는 학교에 대해 싫고 유쾌하지 않은 곳으로 조건 형성이 될 것이다.

    고전적 조건 형성 과정에 주요한 두 가지 학습 과정, 즉 일반화와 변별 과정이 포함되며 일반화 개가 종소리에 침 흘리는 반응을 학습하면 곧 종소리와 유사한 소리에도 침을 흘리게 되고 변별 학습 원래 들려주던 종소리와 비슷한 크기의 소리에 대해서는 고기를 주고 원래 종소리보다 클 때는 고기를 주지 않으면, 개는 큰 종소리에 대해 더 이상 침을 흘리지 않게 된다. 고전적 조건 형성은 개인의 일생을 통해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시로 아동에게 성적 호기심과 두려움 유발 경험들이 밀접히 연관된다면 처벌이 위험이 더 이상 없을 때도 개인의 다양한 성행동 측면에서 두려움이 생성될 수 있다. 조건 형성은 지속될 뿐만 아니라 확산될 수도 있으며 예시로 자신의 성기를 만지는 것이 나쁘다고 느끼는 아이는 다른 형태의 성적 표현에 대해서도 걱정되고 따라서 더 큰 두려움으로 발달될 수도 있다.

    Fredrick B. Skinner(1904~1990)의 조작적 조건 형성 이론은 고전적 조건 형성에서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을 짝지음으로써 조건반응을 학습하게 하는 것과 달리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게 하는 데 관심을 기울인다. 스키너 상자 속에 있는 배고픈 쥐는 원래 지렛대가 있는 것을 보고 이를 눌러봄, 얼마 후 먹이통에 먹이를 보고 먹음, 이런 경험을 거듭하며 먹이라는 보상이 뒤따르는 지렛대 누르기 행동을 습득하게 된다. 즉, 먹이라는 보상을 얻기 위해 지렛대 누르기라는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며 정상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이상행동도 이런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다. 조작적 조건화는 우리에 갇힌 배고픈 고양이는 우리 밖 먹이에 접근하려고 여러 행동을 하며 이 과정에서 우리 문의 빗장을 올리면 문이 열리는 경험함. 점점 문을 여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아진다. 결국, 고양이는 우리 밖으로 나가고 싶을 때 주저 없이 빗장을 올려 문을 열게 된다. Thorndike와 Skinner 등에 의해 체계화된 학습 기재하고 인간 행동의 병리적 현상을 설명하는 기제로 사용된다. 또 행동수정 이론의 근거가 되며 이는 강화의 개념으로 학습의 필수 요소이다.
    강화(reinforcement)는 조작적 조건 형성으로 학습이 이뤄지는 뒷받침이 된다. 행동 습득을 강화시키는 양식은 지렛대 누르기를 강화시키는 것과 같으며 일반적으로 긍정적 행동습관이 정적 강화에 의해 잘 형성된다.
    부적 강화는 보상을 얻기 위해 어떤 행동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획득하게 하는 것이며 강화 계획은 강화가 주어지는 수반성에 따라 계속 강화와 간헐적 혹은 부분 강화로 구분되고 계속 강화 발생한 모든 반응에 강화물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간헐적 강화 시간과 비율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행동 통제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 간격 계획, 변동 간격 계획, 고정비율 계획, 변동비율 계획이 있다. ①고정 간격 계획 바로 앞의 강화로부터 계산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에 일어난 첫 번째 반응에 강화를 주는 방법 ②변동 간격 계획 강화를 주는 평균 시간 간격을 정해 놓지만, 실제 강화를 주는 시간 간격을 변동시키는 방법 ③고정비율 계획 일정 수의 반응을 한 후에 강화를 주는 방법 ④변동비율 계획 일정 횟수의 반응을 한 후 강화가 주어지지만, 실제 반응 횟수는 평균치를 중 심으로 변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처벌(punnishment)에 의해서 학습을 경험시키는 경우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을 못 하도록 바로 고통을 주어 바람직하지 않은 해동을 억제하는 학습을 시키는 것이며 훈육의 방법으로 강화나 처벌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신체적·심리적으로 상처를 주는 정적 처벌에는 네 가지 부정적 결과가 있다. ①처벌은 부적절 행동을 제거하기보다 일시적으로 억압하는 것 ②처벌하는 사람과 처벌되는 상황 자체가 고전적 조건화된 혐오 자극이 되도록 처벌하는 자극은 공포를 유발할 수 있음 ③처벌은 문제 해결법으로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인정하게 될 수 있음 ④처벌 절차가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을 단순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강화가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더 효과적이며, 처벌은 부적절한 행동 감소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처벌의 부정적 결과를 염두에 둬야 한다. 소거(extinction)는 학습된 행동을 없애는 것으로 조작적 조건 형성이나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일단 학습된 행동을 없애는 것이며 예시로 심하게 떼쓰는 아이의 경우, 이런 행동이 어머니의 관심과 보상으로 습관화된 것이라면 아이가 떼쓸 때 어머니가 더는 관심을 주지 않으면 그 행동은 없어지게 된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