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의 발달, 정서 유발 이론, 정서의 영향인간관계론 2022. 5. 2. 18:55
정서의 개념은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분이나 분위기이며 자신의 감정 상태가 어떤가에 따라 그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 정서는 사람이 현재 가지고 있는 감정 상태로 신체적 변화를 수반하며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흥분된 강한 감정이며 정서의 기본적 특징으로는 감정이 신체적 변화를 수반한다는 것이며 예시로 불안이란 정서를 경험할 때, 몸이 굳고 손에 땀이 나며 가슴이 뛰고 얼굴이 붉어지거나 창백해지는 등의 신체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성숙에 의한 정서 발달에 Watson은 생후 3개월 된 유아를 관찰해 공포·분노·애정, 이 3개의 정서 반응이 출생 시부터 유아가 가진 기본 정서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3개월 이전의 신생아는 정서 반응의 이론 구별이 없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고 아기에게 울음은 최초의 유일한 정서 표현 방법이다. 3개월이 되면 쾌·불쾌의 정서가 발달하고, 생후 5개월이 되면 분노와 혐오, 7개월에는 공포와 불쾌가 분화되고, 애정과 기쁨은 10~12개월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정서 과정이 학습의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출생 당시 귀먹고 눈먼 아이가 이외에는 정서 표현을 학습할 기회가 없었음에도 정서 자극을 주었더니 공포, 쾌 등에 대한 표정, 웃음, 울음이 정상 유아와 동일하게 관찰되며 몇몇 기본 정서는 성숙에 의해 발달한다. 학습에 의한 정서 발달은 정서가 학습되는 과정은 조건 형성의 과정으로 설명되며 Watson은 Albert란 아이가 쥐를 무서워하게 되는 정서 학습 가정을 실험했으며 Albert에게 쥐에 대한 공포라는 정서를 학습시킨다. 처음 흰쥐를 보여줬을 때는 무서워하지 않았지만, 흰쥐와 놀고 있을 때 갑자기 큰 소리를 내 무서워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해 쥐를 무서워하게 된다. 큰 소리는 무서움을 자아내는 무조건 자극이고 쥐는 조건 자극이 되며 무조건 자극과 조건 자극이 짝지어 쥐를 무서워하는 조건반사가 형성된다. 여러 불합리한 공포도 결국 대부분 이렇게 자연적으로 조건 형성되어 학습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고 예시로 번개 그 자체는 무서운 정서를 자아내지 않지만, 번개가 반짝인 다음의 천둥소리 때문에 놀라게 됨. 천둥이라는 무조건 자극과 번개라는 조건 자극이 짝지어진다. 정서 학습은 조건 형성 과정뿐만 아니라 모방학습이나 경험을 통해서도 이루어지며 예시로 대부분 사람은 뱀을 무서워하는데, 이는 뱀에 물린 경험이 없어도 책이나 어른들의 이야기에서 뱀을 싫어하는 정서를 학습할 기회가 많았기 때문이다. James와 Lange의 말초 이론에 James는 정서라고 하는 것은 생리적 변화에 대한 지각의 결과라고 주장하며 정서란 신체적 반응에서 오는 피드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신체적 변화가 먼저 일어나고 이를 지각하는 것이 정서라는 것이고 예시로 슬퍼서 우는 것이 아니라 우니까 또 눈물이 나니까 슬프다는 것이다. 또 Lange도 James와 같은 견해를 가졌다. Cannon과 Bard의 피 간질 뇌 이론은 많은 학자들이 Lange와 James의 이론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Cannon은 정서와 생리적 변화는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서를 경험하는 데 무엇을 보고 듣느냐 하는 등의 지각 과정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외부에서 주어지는 정서 유발 자극은 시상을 자극하고, 그 신경 파는 대뇌피질로 신호를 보내 정서를 경험하게 하며, 다른 한편 자율신경계로 신호를 보내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정서와 신체적 반응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인지적 이론에 정서는 생리적 반응뿐만 아니라 개인이 처해 있는 상황과 그 상황에 대한 개인의 해석 및 평가에 의해 결정 되며 인지는 개인이 일반적으로 처해 있는 정서 상태를 어떻게 불러야 할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주는 역할이다. Schachter와 Singer(1962)의 정서에 대한 인지적 관점을 검증하는 실험을 했으며 피험자들에게 새로 개발된 비타민 복합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했다. 이 연구 결과, 두 가지 정서 상태 사이에 생리적 차이가 별로 크지 않으면 개인 각자의 지각과 해석(인지)에 의해 정서적 경험이 달리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정서와 적응에 우리 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정서 반응이나 행동을 억제하게 함으로써 정서가 해소되지 않는 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억제된 정서는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심성의 한구석에 축적되고, 나중에 이것이 환경에 대한 적응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예시로 어린 시절의 화가 청년기에 이르러 반사회적 공격 행동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있다. 정신 신체적 질환은 만성적 불안이나 적의가 장기간 지속하면 자율신경의 흥분이 장기화되며 이러한 흥분의 장기화는 질병에 걸리기 쉽게 만들게 된다. 만성적 긴장, 불안으로 말미암아 신체 질환이 생기는 현상을 정신신체 질환이라고 하며 위궤양, 고혈압, 천식, 피부병, 당뇨병 등은 정신신체 질환으로 연유되는 경우가 많다. 플라시보 효과는 약품 효과에 관한 실험에서 한 집단에게는 수면제라고, 다른 집단에게는 소화제라고 말해주고 비타민 알약을 복용하게 한 결과, 수면제라고 한 집단이 곧 잠이 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플라시보 효과는 비타민 알약은 생리적으로 수면에 아무런 효과가 없는데 다만 수면제라는 지시에 의해 수면하는 효과를 얻는다. 플라시보 효과의 심리적 기제는 지시에 따라 정서적 변화가 생겨 그것이 신체적 작용을 일으킨 결과라고 해석된다.
'인간관계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관계의 부적응,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유형 (0) 2022.05.04 일반적인 정서의 분류, 대인 정서, 건강한 정서(감정) 표현 (0) 2022.05.03 성격검사법과 건강한 성격 형성 (0) 2022.05.01 심리적 발달 이론,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 (0) 2022.04.30 성격 이론 (0) 2022.04.29